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농어 습성 및 서식지별 낚시 시기 여름이 오면 연안 갯바위나 섬암초밭으로 몰려드는 날쌘 고기 [농어]. ‘바늘털이의 명수’로 한번 떼를 만나게 되면 숨 돌릴 틈 없는 입질을 해 꾼들을 매료시킵니다. 표층과 중층을 떼 지어 몰려다니면서 폭발적인 입질을 보일 뿐만 아니라, 일단 낚시에 걸려들면 파이팅 넘치는 몸놀림으로 꾼들을 흥분시킵니다. 이 같은 농어는부터 행운을 가져다주는 길조의 물고기로서, 그리고 맛있는 진미의 물고기로서도 유명합니다. 그럼 농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농어란?농어 또는 노어는 주걱치목 농어과에 속하는 물고기입니다. 농어목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최근 심해 탐험 중 밝혀진 결과로는 몸길이 최대 2m가 넘는다고 합니다. 몸은 약간 길고 납작하며 등은 푸른빛이 도는 회색, 배는 은백색입니다. 개체에 따라 몸의 측면과 .. 카테고리 없음 2024. 6. 11.
참돔 타이라바 타이렁이 물때 모든 낚시가 그렇듯이 물때(조류, 물색), 날씨, 수온, 포인트(선사) 등 조황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많으며, 4계절 낚시가 가능한 대신 지역별로 물때 등의 영향도가 조금씩 다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직장인들은 낚시를 갈 수 있는 시간이 휴일밖에 없어서 물때는 어느 정도 맞추시고, 집중해야 하는 낚시 시간에 대해 아시는 것이 중요할 거 같습니다.참돔 시기별 추천참돔은 사계절 낚시가 가능한 낚시입니다. 특히 제주도에서도 1월~4월까지 대물 낚시가 가능하며, 5~6월은 산란기 시기라 서해에서 대물 낚시가 가능하고, 7월~11월까지는 어느 정도 서해에서 평범한 조황 낚시를 하다가, 11월 ~ 3월에는 전남권에서 마릿수  호황 낚시가 가능한, 지역을 잘 찾아다니시면 4계절 모두 좋은 조황을 맛볼 수 있는.. 카테고리 없음 2024. 6. 7.
참돔 타이라바 지역별 안내 타이라바 및 타이렁이의 경우 4계절 낚시가 가능한 낚시이나, 계절에 따라 낚시 가능 지역이 바뀝니다. 계절별 타이라바 낚시를 즐길 수 있는 곳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중에서 제가 추천드리는 곳은 멀지만 조과가 좋은 겨울철 여수, 가까운 곳으로는 초여름 오천, 홍원, 군산을 추천드리고, 대물을 노리신다면 겨울철 제주도를 추천드립니다.인천, 군산, 충남5월부터 8월까지 인천, 군산, 충남에서 타이라바를 많이 진행합니다. 서해권 포인트는 주로 20~60m의 낮은 수심으로 타이라바 헤드는 40~100g을 주로 사용하며, 바닥권을 많이 노리기 때문에 채비손실이 있는 편입니다.인천은 타이바라를 시작한 지 별로 안되어서 추천을 별로 안 하나 가까운 곳에 가서 참돔을 잡는 재미를 느끼고 싶으시다면 영흥도, 인천 남항, .. 카테고리 없음 2024. 6. 4.
참돔 타이라바(타이렁이) 낚시 준비 및 운영법 참돔 낚시 중에 타이라바 및 타이렁이에 대해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타이라바의 세계는 파고들면 들수록 어렵긴 하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는 게 또 타이라바 낚시 방법입니다. 최근 겨울 남해에서 핫한 장르가 이기도 하며, 6월의 경우 참돔 산란기라서 대물을 잡을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사계절 모두 낚시가 가능한 참돔 타이라바의 세계로 초대합니다.타이라바란?타이라바는 도미(타이) + 러버지그(러버)를 합성 한 단어로 돔 종류를 잡기 위한 러버지깅의 낚시 방법입니다. 타이라바의 기본 동작은 바닥을 찍고 리트리브로 릴 회전 수를 10바퀴 이내에서 탐색을 진행하면서 참돔을 유혹하여 낚시를 하는 방법입니다. 낚시 장비로드(낚시대)과거에는 무조건 큰 참돔을 노리는 경향이 있어서 전체적.. 카테고리 없음 2024. 6. 4.
참돔 서식지, 활동성 및 그 밖의 정보 참돔참돔은 농어목 도미과의 생선으로 수명이 20년 이상이나 되는 장수 물고기로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알려져 생일이나 회갑 등 경사스러운 날과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릅니다. 시력은 발달되어 있지만 색상을 구별하는 능력은 크지 않으며, 귀는 잘 발달되어 150Hz의 소리 끼자 잘 반응합니다. 참돔은 천적이 거의 없을 정도로 호기심이 강한 잡식성 어종으로, 새우나 갯지렁이, 어류 등을 주로 먹고살며, 3년 이상 자란 참돔의 경우 성게와 불가사리까지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서식지참돔의 서식지는 근해 조류부터 본 유역의 200m 수심까지 넓게 서식하고 있습니다. 모래 진흙바닥에 있는 참돔은 바닥에서 0.5~1m, 암초 지대에 있는 참돔은 바닥에서 8~10m에 있는 것이 많습니다. 또한 손바닥 클래스의 어린 .. 카테고리 없음 2024. 6. 3.
반응형